티스토리 뷰
목차
혹시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이 되는지 궁금하신가요? 또는 이미 수급자이지만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모르셨다면, 이 글에서 2025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과 지원 혜택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📌 기초생활수급자 확인 및 신청 사이트
1. 기초생활수급자란?
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어요.
2.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
① 소득 기준
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에요.
- 생계급여: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
- 의료급여: 기준 중위소득 40% 이하
- 주거급여: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
- 교육급여: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
② 재산 기준
거주 지역별로 정해진 재산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.
- 대도시: 약 1억 1천만 원 이하
- 중소도시: 약 8천만 원 이하
- 농어촌: 약 7천만 원 이하
③ 부양의무자 기준 (2025년 변경 사항)
생계급여에 한해 부양의무자 기준이 일부 적용되며, 나머지 급여는 폐지되었습니다. 다만 고소득·고재산 부양의무자는 제외될 수 있어요.
3.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
- 생계급여: 매월 생계비 지원
- 의료급여: 진료비, 약제비, 입원비 등 지원 (1종/2종 차등)
- 주거급여: 임대료 또는 주택수선 비용 지원
- 교육급여: 학용품비, 급식비, 입학금 등 지원
- 에너지바우처: 여름·겨울 냉난방비 지원
- 문화누리카드: 연 1회 문화활동 비용 1인당 11만 원 지원
- TV수신료 면제, 통신요금 감면 등 각종 공공요금 할인
- 자활사업: 일자리 및 직업훈련 연계 지원
- 취업성공패키지 및 내일배움카드 우선지원
4. 신청 방법 및 절차
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 신청 후에는 소득재산 조사 → 자격심사 → 수급 결정 순으로 진행됩니다.
필요서류
- 신분증
- 금융정보제공 동의서
- 임대차계약서 (주거급여 신청 시)
5. 주의할 점
- 소득이나 재산에 변동이 생기면 즉시 신고해야 해요.
- 허위신청이나 부정수급 시 환수 및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.
✔ 마무리 요약
기초생활수급자는 다양한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. 소득과 재산 기준을 꼼꼼히 따져보고, 해당된다면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를 통해 꼭 신청해보세요.
▼ 더 궁금한 복지정보는?
- 복지로 바로가기
-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상담 가능